도시 폐기물 한 곳서 복합처리 … 환경·에너지 문제 동시 해결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생활쓰레기, 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 등 도시에서 발생하는 여러 폐기물을 복합적으로 처리해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도시자원 순환형 복합 플랜트 건설기술(이하 도시자원 순환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도시자원 순환기술은 광역단위 분산형 도시에너지 수급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한국형 저탄소 도시 모델의 핵심적인 기술로, 시운전을 통해 성능검증까지 완료하고 운영기술까지 확보한 점과 핵심 설비(수열탄화, 건조, 소각)를 국산기술로 개발해 기술 수준을 선진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그동안 도시 폐기물은 종류에 따라 개별 시설에서 각각 처리하는 방식이어서 경제성과 에너지 효율성이 낮고, 해당 시설이 설치된 지역에서는 악취 등으로 인해 민원이 지속 제기돼 왔다.

하지만 이번 도시자원 순환기술 개발을 통해 여러 종류 폐기물을 한 곳에 모아 복합플랜트를 거쳐 에너지로 생산할 수 있게 돼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도시자원 순환기술은 3가지 폐기물을 동시에 운반해 활용할 수 있는 수도권매립지 내에 설치해 인근 드림파크CC 클럽하우스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지난해 10월부터 11월까지 실증을 거쳤다.

특히, 도시자원 순환기술로 만들어진 복합플랜트를 통해 드림파크CC 클럽하우스에 에너지를 공급한 결과, 연간 3억3000만원의 에너지 비용절감 효과를 거뒀고, 3가지 폐기물을 각각 처리하는 비용대비 30%의 처리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실증됐다.

또한, 7000가구(인구 2만명 기준)에서 하루에 발생하는 생활쓰레기 14톤, 음식물쓰레기 4.8톤, 하수슬러지 3.8톤 등 폐기물 22.6톤을 활용하면 550가구의 에너지 자립이 가능하고, 연간 2466톤의 온실가스(CO2) 배출을 저감하는 것으로 실증됐다.

국토부 이상주 기술안전정책관은 “앞으로 환경기초시설들은 첨단기술을 활용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소규모 분산형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기피시설로 여겨져 왔던 과거와는 달리 지하공간을 활용해 에너지 공급시설로 사용하고, 지상공간은 다양한 편의시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도시혁신, 스마트시티 조성, 신도시 건설 등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해외 수주 활동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된다”고 밝혔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도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