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과 그림으로 소통한 영조와 정조의 이야기

글과 그림으로 소통한 조선시대 두 임금을 조명한 특별한 전시가 진행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내년 310일까지 특별전 탕탕평평(蕩蕩平平)-글과 그림의 힘을 개최한다. 지난 128일 시작된 이번 특별전은 내년 영조(재위 1724~1776) 즉위 300주년을 맞아 마련됐다. 영조와 정조(재위 1776~1800)탕평한 세상을 이루기 위해 글과 그림을 활용해 소통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에 주목한 전시로, 영조와 정조가 쓴 어필(御筆)과 두 임금의 의도를 반영해 제작된 궁중행사도 등 18세기 궁중서화의 화려한 품격과 장중함을 대표하는 5488(국보 1, 보물 11, 세계기록유산 5,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1건 포함)을 선보인다.

 

인재 등용과 왕도 세우기로 탕평을 이루다

영조와 정조가 탕평을 이루고자 글과 그림을 활용한 방법에 주목하는 이 전시는 4부로 구성했다.

천의소감 언해본.
천의소감 언해본.

1탕평의 길로 나아가다에서는 글과 그림으로 탕평의 의미와 의지를 전하는 서적과 그림을 전시한다. 특히 영조가 자신의 국정 운영 방침을 널리 알리고자 서적을 간행한 일은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소통 방식이다. 더 나아가 영조는 한글로 풀어쓴 언해본을 제작해 일반 백성에게까지 임금의 뜻이 전해지도록 노력했다.

정조가 심환지에게 보낸 편지.
정조가 심환지에게 보낸 편지.

2인재를 고루 등용해 탕평을 이루다는 영·정조가 글과 그림으로 지지 세력을 확대하는 내용이다. 임금의 마음을 신하에게 친밀하게 전하는 시를 쓴 어필, 은밀하면서 명료하게 업무를 지시한 비밀 편지를 전시한다. 또한 신하의 스승인 군사를 자임할 정도로 학문 수준이 높았던 정조가 주자를 존숭한 일면을 김홍도(1745~1806 이후)가 그린 <주부자 시의도>로 보여준다.

탕평비탑본.
탕평비탑본.

3왕도를 바로 세워 탕평을 이루다에서는 영·정조가 를 내세워 정당한 왕위 계승자임을 강조하는 상황을 다룬다. 영조는 원로대신 모임인 기로소 입사 기념 그림에서 자신과 사도세자의 자리를 나란히 배치해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강조했다. 정조는 좋은 글귀의 시호와 존호로 사도세자의 덕을 칭송했다. 그는 사도세자의 복권을 위해 20년 간 노력해 반대세력을 설득하며 왕에 버금가는 존호를 올릴 수 있었다.

화성원행도.
화성원행도.

4질서와 화합의 탕평은 정통성 문제로 분열됐던 정치권 통합을 이룬 정조가 1795년 화성에서 개최한 기념비적 행사를 글과 그림으로 보여주는 공간이다. <화성원행도> 8폭 병풍에는 왕을 중심으로 신하들이 질서를 이루고 백성은 편안한 이상적 모습이 구현돼 있다. 영상으로 상세히 소개해 정조의 제작 의도를 전한다.

 

주목해야 할 전시품은?

삽살개.
삽살개.

먼저 <삽살개>는 책으로만 소개된 작품으로 일반 공개는 이번이 처음이다. 영조가 아끼는 화원 화가 김두량(1696~1763)이 삽살개를 그리고, 영조가 탕평을 따르지 않는 신하를 낮에 길가를 돌아다니는 삽살개에 비유하는 글을 더해 탕평을 따르라는 뜻을 전하고 있다.

박문수 분무공신 전신상.
박문수 분무공신 전신상.

또한 영조의 탕평책을 뒷받침해준 박문수(1691~1756)38세와 60세 초상화를 나란히 배치해 세월의 변화에 따른 얼굴 표현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이번 특별전은 관람객이 전시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 접근 방식을 고안했다. 전시 준비 중 사전 전시 체험단을 연령별로 모집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으며, 어린이 체험단의 의견을 반영해 10세 이상 어린이용 오디오가이드를 별도로 제공하고, ‘나만의 화성 행차 의궤도영상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전시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아주 특별한 음성 서비스도 준비됐다. 2021MBC 인기 사극 드라마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 영조를 연기한 배우 이덕화의 음성으로 영조의 글을 녹음했다. 이덕화 배우가 열연을 펼치며 영조의 글에 생명력을 불어넣었다. 해당 전시품 앞에 이덕화 배우의 음성이 반복해 상영되며, 오디오가이드에서는 이덕화 배우의 더 많은 음성을 들을 수 있다. 이는 이덕화 배우의 재능기부로 이뤄졌다.

이외에도 특별전을 보다 풍성하게 즐기기 위한 특별전 연계 강연회(1222, 118), 학술 심포지엄(223), 전시 기획자와 함께 하는 갤러리 토크(1월 개최 예정)도 진행된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도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