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로 주변지역 재생사업도 본궤도 진입 … 지구단위계획수립 9월 예정

인천광역시가 인천대로(구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사업 추진을 위한 세부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1968년 개통돼 한국의 경제성장을 견인한 경인고속도로는 2017년 12월 1일 고속도로에서 일반도로로 전환되면서 관리권이 국토교통부에서 인천시로 이관된 바 있다. 이관 구간은 인천 기점인 남구 용현동부터 서인천나들목까지 10.45km이다.

우선 당초 도로 상부 차도와 지하 주차장으로 계획했던 원안을 대폭 수정해, 지상은 시민 생활·소통·녹지 공간으로만 꾸미고 찻길 지하화를 추진한다.

지역간 주민소통과 이동을 가로막아 주변 원도심 침체의 원인이었던 구 경인고속도로의 옹벽과 방음벽을 제거하는 기본개념은 그대로 가져가면서 설계단계에서 새롭게 대두된 소음문제(법적기준 상회) 해소와 좀 더 친환경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도로환경로 조성된다.

인천시는 지상에는 생활형 도로와 S-BRT만 남기고 공원과 녹지의 폭을 확대해 시민이 마음껏 즐기고 소통하는 공간을 조성하고, 지하에는 간선형 도시고속화도로(왕복4차로)를 설치하는 것을 골자로 사업계획 변경안을 마련했다. 올 9월까지 시민참여협의회 및 주민설명회 등 주민의견 수렴을 통해 세부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지하도로 반영과 함께 올해 1월 국토교통부(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서는 도로 위 전철로 불릴 만큼 정시성이 뛰어나고 친환경적인 S-BRT를 인천대로 일반화 구간에 시범사업 노선으로 선정함에 따라 국가대중교통계획이 인천시의 일반화사업에 접목됨으로써 인천대로 일반화사업의 조속한 실행력이 한 단계 향상됐다.

인천시는 정부와 아직 고속도로인 서인천나들목부터 신월까지의 경인고속도로 구간 지하화 및 S-BRT를 서울(영등포구)까지 연장시키는 계획을 향후 추진하기 위해 건의한 상태이다. 추진 시 인천항 및 인하대 부근에서 서울까지의 출퇴근길이 획기적으로 단축돼 원도심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BRT(고급BRT)는 외부차량과 분리된 전용주행로를 설치하고, 교차로는 우선신호 또는 입체화 시킴으로써 지하철 수준의 평균통행속도 25~35km/h 유지하는 정시성을 확보해 ‘땅 위 지하철’로 불린다.

기존 BRT차량은 버스차량을 사용했으나 고급BRT는 전기 또는 수소를 연료로 하는 출입문 3개 이상의 대용량 버스를 사용하고, 정류장은 도로중앙에 섬 식으로 설치해 지하철과 같이 사전요금지불방식 도입, 정류장 내부에는 냉․난방과 BIS시스템을 완비해 평면 승․하차가 가능한 미래교통수단이다.

천준홍 고속도로재생과장은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사업은 도로로 단절됐던 우리시의 중심을 하나로 연결하고 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돌려드리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시민과 함께 추진할 방침”이라며 “인천 자체사업은 물론 정부와도 협력해 인천의 성장과 발전을 견인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추진 방향을 설명했다.

인천시는 공사 중 교통혼잡을 예방하기 위해 면밀한 교통분석을 수행 중에 있으며, 교통분석 결과에 따라 우회노선 개발, 교통운영개선(TSM) 등 맞춤형 교통대책을 올 상반기 내 수립할 계획이다. 이 또한 시민참여협의회 등을 통해 시민과 함께 그린다.

한편, 인천대로 주변지역 재생사업도 본궤도에 진입했다.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추진 중이었던 ‘50년을 돌아온 사람의 길 사업’은 지난해 활성화계획이 승인됨으로써 1580억원의 예산 계획이 확정돼 올해부터 석남거북이기지 등의 재정사업이 본격적으로 집행될 예정이다. 주변지역의 근린상업기능 강화 및 보행활성화를 목적으로 추진 중인 지구단위계획 수립(용도지역 변경 포함)도 올해 9월경에 결정될 예정이다.

인천시는 이번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되면 인천대로 주변은 지금과는 전혀 다른 환경 친화적 선진도시로 탈바꿈 될 뿐만 아니라 공사시행에 따른 취업유발효과(9099명)와 생산유발효과(1조6863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6934억원)도 클 것으로 예상돼 지역경제에 큰 활력을 불어 넣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천준홍 과장은 “최단시간에 사업이 끝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공사기간 동안 주민 여러분들의 불편이 없도록 주변 교통대책 등도 빈틈없이 검토해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도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